![](http://i1.daumcdn.net/thumb/R800x800/?fname=https://blog.kakaocdn.net/dn/bbruUO/btsHmcFrcg1/kP0AvKiN19PBXkhnhqYhl0/img.png)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이 5년 동안 목돈을 만들 수 있는 계좌로, 특히 정부 지원을 받으며 효과적으로 자산을 늘릴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계좌는 정부의 추가 지원 덕분에 개인 저축액보다 더 많은 금액을 모을 수 있으므로, 장기적인 목표를 가지고 계획적으로 저축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아주 좋은 선택입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청년도약계좌 조건, 신청방법, 은행별 금리비교, 만기금액까지 총정리해드리겠습니다.
참고로 청년도약계좌와 청년내일 저축계좌는 같이 신청가능하니 아래 글에서 청년내일저축계좌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세요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가입 기간
- 2024년 12월 31일까지
가입 대상
- 만 19세에서 만 34세 사이의 청년
- 개인 소득 요건과 가구 소득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 가입일 직전 3개년도 중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 아닌 경우에만 가입 가능
- 소득이 없거나 국세청에서 소득금액 증명이 불가능한 경우는 가입이 불가합니다.
- 내국인과 외국인 모두 가입이 가능합니다.
개인소득 요건
- 직전년도를 기준으로 총급여와 종합소득을 계산합니다.
- 소득 요건을 매년 현행화하여 정부 기여금의 규모가 조정됩니다.
개인소득 범위
- 총급여 6,000만원 이하와 종합소득 4,800만원 이하: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 적용
- 총급여 7,500만원 이하와 종합소득 6,300만원 이하: 비과세 혜택은 적용되나, 정부 기여금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가구소득 요건
- 본인을 포함한 가구원의 소득 합이 기준 중위소득의 180% 이하여야 합니다.
중위소득은 아래 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4년 기준 중위소득 50%부터 150%까지 급여정책 한 눈에 정리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면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여 정부 지원을 통해 목돈을 마련하는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가입을 희망하시는 분들은 자격 요건을 꼼꼼히 확인하고, 가까운 은행 또는 해당 은행의 앱을 통해 절차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청년도약계좌 기여금
청년도약계좌의 기여금은 개인소득 수준과 납입한 금액에 따라 정부에서 매칭 지원되며, 이자소득에 대해서는 비과세 혜택이 제공됩니다. 소득별 기여금 매칭 비율과 월 한도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개인소득 수준 | 월 기여금 지급 한도 | 기여금 매칭비율 | 월 기여금 한도 |
총급여 2,400만원 이하, 종합소득 1,600만원 이하 | 40만원 | 6.00% | 2.4만원 |
총급여 3,600만원 이하, 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 | 50만원 | 4.60% | 2.3만원 |
총급여 4,800만원 이하, 종합소득 3,600만원 이하 | 60만원 | 3.70% | 2.2만원 |
총급여 6,000만원 이하, 종합소득 4,800만원 이하 | 70만원 | 3.00% | 2.1만원 |
총급여 7,500만원 이하, 종합소득 6,300만원 이하 | - | - | - |
소득이 적은 경우 더 높은 비율의 매칭 기여금을 받을 수 있어서, 상대적으로 낮은 소득으로도 저축을 장려하고자 하는 정책적 의도가 반영되어 있습니다. 기여금 지급 한도를 초과하여 납입한 경우 추가 기여금은 지급되지 않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중도해지
- 일반중도해지: 원칙적으로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이 제공되지 않습니다. 해지 후 2개월이 경과해야 재가입이 가능하며, 중도해지 시에는 기여금이 가입 기간에 따라 차감됩니다.
- 특별중도해지: 특별중도해지 사유로 인한 중도해지 시에는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이 적용됩니다.
청년도약계좌 금리
아 표를 통해 각 은행의 우대 조건과 적용 가능한 금리를 비교하실 수 있습니다. 은행 선택 시 각자의 상황에 맞는 우대금리 조건과 가산금리를 고려하여 가장 유리한 은행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은행 |
기본금리
|
우대금리
|
소득
우대금리 |
최고금리
|
적금담보대출
가산금리 |
우대금리
|
세부항목 | ||||||
농협 |
4.50%
|
1.00% | 0.50% | 6.00% |
0.90%
|
급여이체, 마케팅 동의, 카드실적, 최초거래 |
신한 |
1.00%
|
급여이체, 카드실적, 최초거래 | ||||
우리 | 급여이체, 마케팅 동의, 카드실적, 최초거래 | |||||
하나 | 급여이체, 마케팅 동의, 카드실적, 최초거래 | |||||
기업 |
0.60%
|
급여이체, 마케팅 동의, 자동이체, 카드실적, 최초거래 | ||||
국민 |
1.25%
|
급여이체, 자동이체, 주택청약/기타 | ||||
대구 |
4.00%
|
1.50% | 1.00% | 자동이체, 주택청약 | ||
부산 | 급여이체, 카드실적, 최초거래 | |||||
경남 |
1.20%
|
최초거래, 주택청약 | ||||
광주 |
3.80%
|
1.70% |
1.20%
|
급여이체, 카드실적, 최초거래, 기타 | ||
전북 | 1.30% | 급여이체, 마케팅 동의, 자동이체, 카드실적 |
우리은행의 우대금리 조건을 채우기가 다른 은행보다 상대적으로 쉽습니다. 우리은행에서는 급여이체만으로 1.0%의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이 우대금리를 완전히 활용하려면 마케팅 동의와 자동납부 만기 유지가 필수 조건으로 요구됩니다. 마케팅 동의가 일부 고객에게는 부담스러울 수 있지만, 5년간의 금리 혜택을 고려한다면 충분히 고려할 만한 조건입니다. 또한, 우리은행에서 급여이체가 불가능한 상황이라도 우리카드를 사용하여 월 10만원 이상 사용 시 30개월 동안 0.5% 추가 금리를 받을 수 있으며, 최초 거래시에도 0.5% 금리가 추가되어 총 1.0%의 우대금리를 만족시킬 수 있습니다.
만기금액 예상
청년도약계좌를 시중은행에서 가입하고, 기본금리가 4.5%로 유지되며, 최대 우대금리를 받고 월 70만원씩 납부했을 경우의 예상 만기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총급여 기준 | 납입액 | 정부기여금 | 납입금액 이자 | 기여금 이자 | 총 수령액 | 혜택 금액 | 일반 적금 비교 |
2,400만원 이하 | 4,200만원 | 144만원 | 640만원 | 16만원 | 5,000만원 | 800만원 | 8.86% |
3,600만원 이하 | 4,200만원 | 138만원 | 587만원 | 15만원 | 4,938만원 | 738만원 | 8.19% |
4,800만원 이하 | 4,200만원 | 132만원 | 14만원 | 4,931만원 | 731만원 | 8.12% | |
6,000만원 이하 | 4,200만원 | 126만원 | 13만원 | 4,924만원 | 724만원 | 8.05% | |
7,500만원 이하 | 4,200만원 | 126만원 | 4,787만원 | 587만원 | 6.50% |
청년도약계좌가 특히 2,400만원 이하 소득 구간에서 가장 큰 혜택을 받습니다. 또한, 소득 구간이 높아질수록 받을 수 있는 정부 기여금이 줄어들어 전체 혜택이 감소합니다. 7,500만원 이하 구간에서는 기여금이 없어 비과세 혜택만으로는 시중의 6.50% 적금과 유사한 효과를 보게 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최대효과 받는 법
정부기여금을 최대한 활용하는 전략을 통해 특정 소득 구간에서 최대의 혜택을 받는 경우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이는 정부의 월 기여금 지급한도를 고려하여 각 소득 구간별로 적절한 월 납입액을 설정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총급여 기준 | 월 납입액 | 총 납입액 | 총 정부기여금 | 납입금액 이자 | 기여금 이자 | 총 수령액 | 혜택 금액 | 일반 적금 비교 |
2,400만원 이하 | 40만원 | 2,400만원 | 144만원 | 366만원 | 15만원 | 2,925만원 | 525만원 | 10.19% |
3,600만원 이하 | 50만원 | 3,000만원 | 138만원 | 419만원 | 15만원 | 3,572만원 | 572만원 | 8.87% |
4,800만원 이하 | 60만원 | 3,600만원 | 132만원 | 503만원 | 14만원 | 4,249만원 | 649만원 | 8.39% |
위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소득이 낮은 구간에서는 비교적 적은 금액을 납입함에도 불구하고 높은 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정부 기여금의 높은 비율과 합리적인 이자 계산 덕분입니다. 소득이 높아질수록 월 납입액을 증가시켜도, 정부기여금 한도에 도달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금액이 이자로만 계산되어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낮아집니다.
이러한 계획은 특히 재정적 여유가 없거나 다른 투자에 자금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유용하며, 청년도약계좌를 활용하여 최대의 이익을 얻기 위한 전략으로서 효과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