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정보15 청년도약계좌 6월 출시 혜택, 나도 가입 가능할까? 청년도약계좌는 윤석열 대통령이 대선 때 공약으로 청년층에게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기회를 만들어주겠다며 도입을 약속한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 해당 상품은 청년층이 매월 70만원 한도로 계좌에 자유롭게 납입하면 정부가 일정 비율로 기여금을 지급하고, 이자에 대한 비과세 혜택이 주어진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월 70만원을 5년 납입하면 약 5,000만원을 적립할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 이번 글에서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금융위원회 청년도약계좌 보도자료 목차 청년도약계좌란? 2023년 예산안에 정식 도입된 청년도약계좌는 물가 상승 등으로 생활과 주거 안정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돕기 위해 정부가 마련한 상품입니다. 청년이 월 40만~70만원을 납입하면 매달 최대 2.4만원을 정부.. 2023년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신청 모집중 서울시는 서울에 거주하는 청년층의 높은 주거비 부담 완화와 함께 삶의 질을 높이고, 안정적인 주거 마련을 위해 현재 청년월세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보다 많은 청년들이 23년도 청년월세지원 사업모집에 참여하도록 안내해드리니 아래 내용을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1. 지원대상 2. 지원내용 3. 선정기준 4. 제출서류 5.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신청방법 1. 지원대상 - 신청일 기준 주민등록등본상 서울시에 거주 - 주민등록등본상 서울시에 거주하고 신청연도 기준 만19세~만39세 청년 - 임차보증금 5천만원 이하 및 월세 60만원이하 건물에 월세로 거주하는 무주택자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 청년 1인 가구 ※ 23년 이전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기 선정(수급)자, 국토교통부 청년월세 한.. 2023년 기준 중위소득 100%? 180%? 쉽게 확인 오늘은 기준 중위소득에 대해서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중위소득은 국가에서 제공하는 LH전세, 근로장려금 등 다양한 복지정책에 대한 기준을 삼을 때 활용하는 지표입니다. 아무래도 기사에서도 많이 접하시고 정부 정책에 관심이 조금만 있으시다면 어느 정도 친숙한 용어입니다. 밑에 사진을 클릭하시면 e-나라지표에서 제공하는 정확한 기준 중위소득을 아실 수 있습니다. 목차 1. 기준중위소득 뜻 2. 1인 가구 기준 %소득 3. 2인 가구 기준 %소득 4. 3인 가구 기준 %소득 5. 4인 가구 기준 %소득 1. 기준중위소득 뜻 기준 중위소득은 보건복지부 장관이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고시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간값입니다. 이는 2023년 현재 기초생활보장제도를 비롯한 12개 부처 76개 복지사업의 수.. 이전 1 2 3 4 다음